자동차에서는 타이어가 필수다. 인간과 비교하자면 타이어는 발이며 신발이다. 타이어는 용도와 구조에 따라서 나뉘는데 이번 글에서는 타이어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바이어스 타이어는 카커스 코드가 타이어의 원주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서로 결합 된 타이어를 말한다. 크로스 플라이 타이어 또는 다이어 고널 타이어라고도 한다. 접지된 면에서 중첩된 플라이가 고무를 매개로 충격을 흡수하므로 코드 각이 작은 타이어일수록 코드가 겹치는 점이 많아져 카커스가 잘 움직이지 않게 되고 타이어는 더 단단해진다. 바이어스 타이어는 타이어 회전 방향과 측면 방향의 두 힘을 카커스 코드로 받으므로 주행 중에는 타이어의 카커스 코드 각도가 상대적으로 변형이 많으므로 유연하고 승차감이 좋다. 그러나 트레드면이 수축되기 쉽고 내마모성이 약하다.
레디얼 타이어는 타이어의 원주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약 90도의 방향으로 배치된 팔라이 위에 10~20도의 코드 각을 가진 강성이 높은 벨트 층을 가지는 구조다. 카커스 코드는 레이온, 나일론 및 폴리에스테르가 사용되고, 벨트에는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또는 강철이 사용된다. 따라서 트레드부의 강성이 크고 또 수축이 거의 없으므로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구름 저항이 적고 타이어의 발열이 적으며 노면과의 접촉성이 향상되어 선회성능이 우수해 현재는 강철 벨트를 사용한 스틸 레이얼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레디얼 타이어의 특징은 타이어의 편평비를 적게 할 수 있으며, 브레이커가 타이어의 둘레를 띠 모양으로 죄고 있으므로 트레드의 변형이 적다. 이로 인해 고속주행에서 브레이크 효과가 좋고 선회할 때 옆 방향의 미끄럼도 적다. 레디얼 타이어는 고속 주행에서 스탠딩 웨이브 현상이 잘 일어나지 않으며, 고속에서 구름 저항이 적고 내마모성이 좋다. 반면 브레이커가 단단하여 충격 흡수 능력에서는 다소 떨어지는 모습을 보인다.
튜브리스 타이어는 튜브가 없는 타이어다. 튜브가 있는 타이어는 튜브로 공기압과 기밀을 유지하므로 노면의 못 등에 의하여 튜브가 손상되면 공기가 빠져 공기압이 낮아진다. 또 심한 충격이나 과다한 하중으로 튜브가 파손되면 급격한 공기 누출로 인하여 조향 불능상태가 된다. 튜브리스 타이어는 튜브가 없으며 타이어의 내면에 공기 투과성이 적은 특수 고무층을 붙이고 다시 비드부에 공기가 누설되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여 림과의 밀착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비드 부분의 내경을 림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한다. 튜브리스 타이어의 특징은 못에 찔려도 공기가 급격히 새지 않으며 펑크수리가 쉽다. 또한 림의 일부분이 타이어 속의 공기와 접촉하기 때문에 주행 중 방열이 잘 된다. 단점으로는 림이 변형되면 공기가 새어 나오기 쉬우며 공기압력이 너무 낮으면 공기가 새기 쉽다.
스노 타이어는 일반 타이어와는 고무 재질과 트레드를 다르게 하여 눈 위에서 슬립이 생기지 않고 주행할 수 있도록 만든 타이어다. 접지면적을 크게 하기 위하여 트레드 부분의 폭을 10~20% 넓히고, 패턴을 리브와 블록을 적절하게 배치하며, 승용차 타이어는 일반 타이어보다 50~70%, 트럭용은 10~40% 정도 트레드의 홈을 깊게 만든다. 그 외에 트레드 부분에 철심을 설치하여 빙판길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스파이크 타이어가 있다.
'각종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소수 대란! 요소수가 하는 역할은? (0) | 2021.11.09 |
---|---|
자동차 현가장치 스프링의 종류 (0) | 2020.12.17 |
커먼레일 디젤 분사 시스템 구조와 장점 (0) | 2020.12.14 |
디젤 엔진의 분사펌프 종류와 구조 (0) | 2020.12.13 |
배기가스 삼원 촉매 변환기 정화 효율 진단 방법 (0) | 2020.12.12 |
댓글